약(22)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10가지 약품
1위. 험미라(Humira)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연간 매출: 약 200억 달러2위. 엘리(Eliquis)혈전 예방 및 뇌졸중 위험 감소 항응고제연간 매출: 약 130억 달러3위. 리피토(Lipitor)고콜레스테롤 치료 약물연간 매출: 약 120억 달러4위. 레미케이드(Remicade)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치료연간 매출: 약 100억 달러5위. 어드베어(Advair)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연간 매출: 약 80억 달러6위. 네삽(Nexium)위산 역류 및 위궤양 치료연간 매출: 약 70억 달러7위. 센트릭스(Crestor)고콜레스테롤 치료 스타틴계 약물연간 매출: 약 60억 달러8위. 플라빅스(Plavix)혈전 예방 및 심혈관 질환 치료연간 매출: 약 50억 달러9위..
2025.01.26 -
소염제와 항생제가 염증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
소염제와 항생제는 염증을 대하는 방식과 목적에 있어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의 약물은 염증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작용 메커니즘과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소염제 (Anti-inflammatory Drugs)소염제는 염증 반응을 줄이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염증은 신체의 방어 메커니즘의 일부로, 감염, 부상, 또는 다른 유해한 자극에 대한 반응입니다. 소염제는 염증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활성을 줄여서 작용합니다. 소염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와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로 크게 나뉩니다.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이부프로펜(Advil)이나 나프록센(Naproxen)과 같은 약물이 포함되며, 통..
2025.01.26 -
스테로이드 테이퍼링에 의한 감액 절차
스테로이드 테이퍼링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사용하는 동안 그 복용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절차를 말합니다. 이 절차는 스테로이드 약물을 장기간 복용한 후 갑자기 중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천천히 체내에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조절하는 시간을 제공하여 체내의 자연적인 스테로이드 생산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스테로이드 약물은 염증, 면역 반응 억제 및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장기간 동안 고용량으로 복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런 부작용은 주로 스테로이드의 갑작스런 중단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신체는 스테로이드의 대체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응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의 갑작스런 중단으로 인해 신체는 충분한 양의 스테로이드를 생산하지 못하고 ..
2025.01.26 -
소염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차이 역할
감기에 걸리거나 목이 아프거나 몸이 다치면 흔하게 처방받는 약이 소염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이다.깊이는 알기 힘들지만, 기초적인 내용을 알고 있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병을 다룰 수 있을 것이다.소염제는 몸의 염증을 억제하는 약이다. 타이레놀이나 아스피린 같은 약도 소염제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소염제만으로 병이 잘 다스려지지 않으면 더 적극적으로 항생제나 항바이러스제를 투입한다.그러나 소염제와 달리, 항생제와 항바이러스제는 내성이라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식으로 복용하고, 남용하면 절대 안된다.그러나 식약청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아직도 우리 국민의 51%가 심한 감기에 항생제가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하는 등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소, 돼지 같은 가축의 항생제가..
2025.01.26 -
백신 만드는 과정
백신을 만드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초기 연구 단계부터 승인 후 제조 및 배포까지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아래는 백신 개발 과정의 주요 단계를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1. 초기 연구 단계(1) 병원체 분석백신 개발은 질병의 원인인 바이러스나 세균의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항원(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확인하고, 적절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백신 후보를 선정합니다.(2) 백신 후보 물질 개발약독화 병원체 백신: 병원체의 활성을 약화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비활성화 백신: 병원체를 죽여 사용하는 방식.단백질 기반 백신: 병원체의 특정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 등)만을 이용.mRNA 백신: 병원체의 유전정보를 세포에 전달해 면역 반응 유도.DNA 백신: DNA를 이용해 병원체 단백..
2025.01.26 -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으면 왜 치료에 항생제를 더 많이 써야 하는가?
우리가 치과에 가면, 보통 앞 수납하는 곳에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는 미리 이야기 해 주세요라는 푯말을 보게 된다.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항생제를 더 많이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만성 질환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환자들은 치료 시 염증이 과다하게 생기거나 잘 안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 몇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면역 시스템의 약화: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은 신체의 면역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신체가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타 병원체로부터 오는 감염에 대처하는 능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감염..
2025.01.26 -
인공지능이 미래의 약사를 대체할 것인가?
"인공지능이 미래의 약사를 대체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단순한 이론적 논쟁이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히 고려해야 할 실질적인 문제입니다.현재 약사의 역할약사는 단순히 약을 조제하는 것을 넘어, 환자 상담, 약물 관리, 치료 결과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환자와 의사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여 약물 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개별 환자의 필요에 맞도록 조정됩니다. 이러한 다면적 역할은 약리학에 대한 깊은 지식, 환자 및 의료 제공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복잡한 임상 상황에서의 판단력을 필요로 합니다.의료에서 AI의 현재 능력인공지능은 데이터 분석, 진단 영상, 환자 결과 예측 등 의료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인간보다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빠..
2025.01.23 -
항생제가 기침 감기에 도움이 될까?
항생제가 도움이 될지 여부는 기침의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감기의 경우 항생제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항생제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질환에만 효과가 있으므로, 기침이 반드시 항생제를 통해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면역력만 떨어뜨릴 뿐입니다.기침의 주요 원인과 항생제의 적합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항생제가 도움이 되는 경우세균성 폐렴: 고열, 가래가 누렇거나 녹색이며 숨이 찬 경우.기관지염(세균 감염): 드물지만 세균 감염에 의해 급성 기관지염이 발생하면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결핵: 결핵균에 의한 감염은 항결핵제를 사용합니다(특수 항생제).2. 항생제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바이러스 감염: 대부분의 감기나 독감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항생제가 효과가 없습니다.천식, 알레르기..
2025.01.23 -
약도 많이 먹으면 배부를 수 있을까?
약도 많이 먹으면 일시적으로 배부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약의 영양 공급과는 상관없이, 위장에 부담을 주거나 약물의 부피로 인해 발생하는 물리적인 느낌에 가깝습니다.배부른 이유약의 부피와 용량약을 다량으로 섭취하면, 특히 물과 함께 복용할 경우 위가 일시적으로 채워져 포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캡슐형이나 알약이 많은 경우, 약이 위에 머무는 동안 배부름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위장 반응일부 약물은 위액 분비를 자극하거나 위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어 배가 부른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습니다.약물의 첨가제약물에 포함된 당분, 첨가제, 혹은 필러 성분(특히 시럽 형태)이 소량이라도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위를 채울 수 있습니다.주의할 점과도한 약물 섭취는 위험합니다.약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해야..
2025.01.09 -
항균제 내성과 항생제 내성의 차이점
항생제 내성과 항균제 내성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구분하자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항생제 내성 (Antibiotic resistance)항생제 내성은 세균이나 기타 병원체가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일부 세균이나 병원체가 항생제를 사용해도 효과가 없거나 적게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이러한 내성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균이나 병원체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유전자를 보유하거나, 항생제를 오용하거나 남용하는 등의 인간의 행동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은 각종 감염병을 치료하는 데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항균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항균제 내성은 항생제뿐만 아니..
202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