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염과 천식을 비교
2025. 1. 27. 15:23ㆍ감염병 코로나19
구분 | 기관지염 | 천식 |
정의 |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 | 기도의 만성 염증과 과민 반응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만성 호흡기 질환 |
원인 | - 급성: 바이러스, 세균 감염 | - 알레르기(먼지, 꽃가루 등) |
- 만성: 흡연, 대기 오염 등 | - 운동, 스트레스, 대기 오염 등 | |
증상 | - 기침, 가래 | - 호흡곤란 |
- 가슴 통증 | - 천명음(쌕쌕거리는 소리) | |
- 숨 가쁨 | - 발작적인 기침 | |
발병 패턴 | - 급성: 일시적(2~3주) | - 발작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며, 특정 유발 요인에 의해 악화 |
- 만성: 반복적으로 나타남 | ||
가래 특징 | - 급성: 노란색 또는 녹색 가래 | - 일반적으로 가래는 많지 않으나, 심한 경우 점액성 가래 발생 |
- 만성: 점액성 가래 | ||
발열 여부 | - 급성 기관지염의 경우 발열 가능 | - 발열 없음 |
- 만성 기관지염은 발열 드묾 | ||
유발 요인 | - 감염(바이러스, 세균) | - 알레르기 물질, 운동, 추운 날씨, 스트레스 |
- 흡연, 대기 오염 | ||
진단 방법 | - 증상 및 병력 청취 | - 폐기능 검사(스파이로미터) |
- 흉부 X선 | - 메타콜린 유발 검사 | |
- 가래 검사 | ||
치료 방법 | - 급성: 휴식, 수분 섭취, 기침 완화제 | - 기관지 확장제(베타-작용제, 항콜린제) |
- 만성: 금연, 약물 치료 | - 흡입 스테로이드제 | |
예방 방법 | - 금연 | - 알레르기 유발 물질 회피 |
- 독감 및 폐렴 예방 접종 | - 정기적인 흡입제 사용 및 관리 | |
- 대기 오염 피하기 | ||
발병 연령대 | - 급성: 모든 연령대 | - 모든 연령대, 특히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흔함 |
- 만성: 주로 중장년층 | ||
합병증 가능성 | - 만성 기관지염은 폐기종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로 진행 가능 | -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호흡 곤란, 폐기능 저하 가능 |
특징적인 차이점 | - 주로 가래와 함께 지속적인 기침이 특징 | - 발작적 호흡곤란과 천명음이 특 |
'감염병 코로나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염과 기침가래의 차이 (0) | 2025.01.27 |
---|---|
가래를 줄이는 방법 (0) | 2025.01.25 |
가래는 왜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0) | 2025.01.25 |
하루 5번 정도 기침을 하지만, 기침할 때마다 아주 심하게 한다면 예상되는 5가지 질병은? (0) | 2025.01.23 |
아스피린이나 부루펜은 가래와 천식을 더 심하게 한다 (0) | 2025.01.23 |